성당에서 하는 동작들은 어떤 의미가 있나요?
(사진설명)
성당에서 하는 행동들에는 의미가 있기에 동작을 할 때는 의미를 되새기는 것이 필요하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서기, 고개숙임, 무릎 꿇음, 앉음.
친구를 처음 성당에 데리고 갔습니다. 미사 때 앉고 서고 절하고 하는 동작들을 보더니 "천주교는 왜 그렇게 복잡하냐"면서 그 의미를 물어보는데 제 대답이 시원찮은 것 같습니다. 미사 때 하는 동작들의 정확한 의미를 설명해 주십시오.
속 마음과 겉 행동이 다를 때도 있습니다만, 대부분의 경우 마음에 있는 것이 겉으로 드러나게 마련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외적 행동은 그 사람 마음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성당에서 하는 동작 또는 자세도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성당에서 하는 동작들과 그 의미들을 하나씩 살펴봅니다.
◇ 일어섬
법정에서 재판장이 입장하거나 퇴장할 때 사람들은 모두 일어섭니다. 재판장에 대한 존경의 표시입니다. 결혼식장에서 신랑 신부가 입장할 때나 퇴장할 때도 하객들은 모두 일어나지요. 결혼식의 주인공이기 때문입니다.
성당에서 미사를 드릴 때도 마찬가집니다. 서는 자세는 존경의 표시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미사를 집전하는 사제가 입장할 때나 퇴장할 때 모두 일어서서 존경을 표시합니다. 사제(또는 부제)가 복음을 읽을 때도 신자들은 그리스도께서 직접 말씀을 선포하시는 것으로 여겨 일어서서 듣습니다.
서는 자세는 또한 가장 일반적 기도자세입니다. 그래서 미사 때 기도하는 부분에서 모두 일어서는 것입니다. 우리는 기쁜 일, 환호할 일이 있으면 앉아 있다가도 벌떡 일어나서 기쁨을 표시하고 환호합니다. 서는 자세는 이처럼 기쁨의 표시입니다. 그리스도 신자들에게 가장 기쁘고 환호할 일은 무엇입니까. 예수님의 부활이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미사 때 복음을 듣기 전에 알렐루야를 힘차게 노래하면서 일어서는 것입니다. 삼종기도 특히 부활삼종기도를 바칠 때 일어서서 바치는 것 역시 부활의 기쁨을 나타내는 것이지요.
◇ 앉음
기쁨과 존경을 표시할 때는 일어서지만 상대방 이야기를 귀담아 경청하고자 할 때는 아무래도 서는 것보다는 바른 자세로 앉아서 듣는 게 훨씬 낫습니다. 이처럼 앉는 자세는 말씀을 경청하는 자세입니다. 미사 때 독서 말씀을 듣거나 강론을 들을 때 앉아서 듣지요. 또 영성체 후 우리에게 오신 주님과 침묵 중에 대화를 나눌 때에도 앉아서 합니다. 물론 이 때 무릎을 꿇기도 합니다.
◇ 무릎 꿇음
뭔가를 간절히 청할 때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두 무릎을 꿇습니다. 무릎 꿇는 자세는 이처럼 간절히 청하는 자세이고, 상대방에게는 공경심을, 자신은 겸손함을 나타내는 자세이기도 합니다. 성당마다 의자에 무릎(장궤)틀이 있었고, 신자들은 성당에 오면 으레 무릎틀에서 무릎을 꿇고 기도를 바치곤 했습니다. 무릎을 꿇으면 무릎이 아프긴 하지만 그래도 무릎을 꿇고 기도를 바치는 모습은 앉아서 또는 서서 기도하는 모습보다 훨씬 보기에도 좋았던 것 같습니다.
가정에서도 신자들이 모임을 하고 나서 마침 기도를 바칠 때는 주님께 감사와 찬미, 존경을 표현하는 의미로 무릎을 꿇고 기도를 바치기도 했습니다. 묵주기도를 바칠 때도 마지막 5단은 무릎을 꿇은 채 바치기도 했지요. 사제에게 안수나 축복을 청할 때 무릎 꿇는 자세를 많이 취하지요.
◇ 한쪽 무릎 꿇음
무릎 꿇음에는 한쪽 무릎만 꿇는 자세도 있습니다. 로마제국에서 장군이 황제 앞에서 인사할 때나 중세 시대 기사가 영주에게 인사할 때 한쪽 무릎을 꿇고 고개를 숙이며 인사하는 자세를 말합니다. 이 역시 공경심과 겸손함을 나타내는 동작입니다. 성당에서는 신자들이 성당에 들어갈 때 제대를 향해 또 미사 중에는 사제가 성체와 성혈을 축성한 후에 이 자세로 공경을 표시했습니다만 요즘에는 허리를 굽히는 큰 절로 바꾸었습니다. 그러나 외국에서는 아직도 이런 자세로 공경을 표시하는 신자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 고개 숙임
고개를 깊이 숙이는 동작 또한 공경이나 감사를 표현하는 자세입니다. 미사 때는 신앙고백의 '성령으로…되셨음을 믿나이다' 부분에서 고개를 깊이 숙여 하느님의 아들이 인류 구원을 위해 사람이 되어 오셨음에 감사를 표시합니다. 또 사제가 기도를 바칠 때 기도에 함께 참여한다는 표시로 고개를 숙이기도 합니다.